목록ETC./Linux (6)
X2r0Ar
FTZ Trainer - 7 ◆ tar : 압축 관련 명령어(용량이 줄어들지 않음, 주로 백업용으로 사용됨) - 압축하기 : tar cvf [압축파일명] [압축할파일들]- 해제하기 : tar xvf [해체할파일명] * 옵션 ◇ c(Create) : 새로운 파일 만들기◇ x(eXtract) : 압축 해제 ◇ v(View) : 압축/해제 과정 보여주기◇ f(File) : 파일로서 백업 하기 ◆ gzip [파일이름] : 압축 관련 명령어(용량이 줄어들음) *옵션 ◇ -d [파일이름] : 압축해제 FTZ Trainer - 8 ◆ cat > test.txt : cat 명령어를 사용해 입력한 문자들을 test.txt로 저장(명령어 종료 Ctrl + d) ◆ cat >> test.txt : cat명령어를 사용해 te..
FTZ Trainer - 5 ◆ whoami :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보는 명령어 ◆ id : whoami 보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◆ cat /etc/passwd : 서버에 생성된 계정들의 정보를 볼 수 있는 명령어 ◆ uname -a : 해당 리눅스의 커널 버전을 알 수 있는 명령어 ◆ cat /etc/*release : 서버에 설치된 OS의 정보를 알 수 있는 명령어 ◆ rpm -qa : 해당 서버에 설치된 패키지에 대해 알 수 있는 명령어 ◆ cat /proc/cpuinfo : 해당 서버의 CPU 정보를 알 수 있는 명령어 FTZ Trainer - 6 패스워드 파일 분석 방법 ◆ cat /etc/passwd : 패스워드 파일 출력 명령어 root : x : 0 : 0 : Admin..
FTZ Trainer - 4 최상의 디렉토리에 있는 하위 디렉토리 정보 - bin : 이곳에는 가장 필수적인 리눅스 실행 파일 들이 들어가 있습니다. ls, rm 모두 이곳에 들어가 있지요.- boot : 리눅스 부팅 관련 파일들과, 리눅스의 심장 인 커널이란것이 들어있습니다.- dev : 이곳은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웨어에 관한 정보들이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곳 입니다.- etc : 많은 중요한 파일들이 이곳에 들어가 있습 니다. 패스워드 파일, 쉐도우 파일, 그 외 대부분의 리눅스 설정 파일 등등.- home : 일반 사용자들의 디렉토리가 들어가는 곳 입니다. guest 와 trainer1~10, level1~10 모두 이 디렉토리안에 속해 있습니다. - lib : 많은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들어가..
FTZ Trainer - 3 ◆ w : 현재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의 접속정보 및 작업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 12:51pm up 2 days, 5:23, 1 user, load average: 0.00, 0.00, 0.00 USER TTY FROM LOGIN@ IDLE JCPU PCPU WHAT root tty1 - 12:51pm 0.00s 0.20s 0.03s w guest pts/0 210.95.24.129 03:21am 3.10m 0.12s 0.01s -bash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1. 이것은 어떤 ID로 login 했는지를 보여줍니다. 여러분은 현재 trainer3 이란 ID로 로그인 되어 있습니다.2. 이것은 여러분이 콘솔로 접속을 했는지, 또는 터미널로 접속을 했는지를 보여줍니다. tt..
FTZ Trainier - 2 ◆ pwd : 현재 경로 출력 명령어 [trainer2@ftz trainer2]$ pwd /home/trainer2 ◆ cd : 디렉토리 이동 명령어 현재 있던 trainer2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터리인 home 으로 이동했습니다. home 디렉토리 안에 있는 trainer2 디렉토리로 이동했습니다. 가장 최상의 디렉토리로 이동했습니다. 다시 원래 있던 /home/trainer2 디렉토리로 이동되었습니다. ◆ mkdir [디렉토리명] : 디렉토리 생성 명령어 linuxer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해 보겠습니다. [trainer2@ftz trainer2]$ mkdir linuxer ◆ rmdir [디렉토리명] : 디렉토리 제거 명령어 ◆ cp [원본파일] [사본파일] : 원본파일을..
FTZ Trainier - 1 빠르게 복습 차원에서 배워 보도록 하겠습니다. 텔넷 접속 환경[Ubuntu 터미널] 터미널에 telnet ftz.hackerschool.org 를 입력후 해커스쿨 서버에 접속해 봅시다. 접속 하면 트레이닝과 레벨이 있는데요. 저희는 트레이닝을 먼저 할 예정이므로 trainer1를 입력 합니다. ◆ 프롬포트 : 사용자가 명령어를 내리기 대기 중이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메세지 [trainer1@ftz trainer1]$ ↑ ↑ ↑ 접속ID 서버 현재위치 ◆ ls : 현재 위치의 디렉토리와 파일 리스트가 출력 * 옵션 ◇ -l : 현재 위치의 디렉토리와 파일에 대한 정보와 함께 리스트가 출력됩니다. 퍼미션/서브디렉토리 갯수/소유자/소유그룹/용량/생성날짜 시간/파일이나 디렉..